제목 | 동지의 의미와 유래 | ||
---|---|---|---|
작성자 | |||
등록일 | 2009년 02월 18일 (14:15) | 조회수 | 조회수 : 2,764 |
동지란? 동지는 일년 중에서 밤이 가장길고 낮이 가장 짧은날이다. 낮이 가장긴 하지(夏至)를 기점으로 해가 점점짧아지기 시작하여 동짓날 극한에 이르고 다음날부터 다시 길어지기 시작한다. 따라서 옛사람들은 이 날을 태양이 죽음으로부터 다시 태어나는 날로 생각하여 축제를 벌이고 태양신에 대한 제사를 올렸다. 우리나라도 신라시대부터 당나라의 선명력을 받아들여 사용하였으므로 예전에는 동지를 설로 삼았다고 한다. 정월설날에 떡국을 먹고 ‘한 살 더 먹었다’ 하듯이 동짓날 팥죽을 먹고도 ‘한 살 더 먹었다’고 하였다. 이는 상고시대 때부터 동지를 설로 삼았던 풍습이 남아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팥죽의 유래 동짓날 팥죽을 끓여 먹는 풍속에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옛날에 중국에 공공씨 라는 사람이 재주 없는 아들을 두었는데 그 아들이 동짓날에 죽어 역귀(疫鬼)가 되었다고 한다. 그런데 그 아이가 살아 있을 때 팥을 두려워 하였으므로 동짓날에 팥죽을 쑤어 역귀를 물리치는 풍속을 따르는 것이다 하면서 그 유래를 설명하였다. 또 어떤 이들은 우리나라의 어느 임금이 난을 만나 피난을 가서 누가 시키는데로 동짓날 백마의 피를 뿌려 제사를 지냈더니 난리를 무사히 피하게 되어, 그로부터 백마의 피로 제사를 지내게 되었고 후세에 와서 백마의 피 대신 핏 빛 나는 팥죽을 쑤어 대신 쓰게 되었다고 한다. 팥죽은 쑤어서 먹기도 하지만 문에 발라 잡귀를 쫓기도 하는데 이것은 음(陰)이 극에 달하여 음성인 귀신이 활동하기 좋은 때 이를 물리치기 위하여 양(陽)의 기운으로 상징되는 붉은색의 팥죽을 쑤어 상대적으로 강자로써 음한기운을 물리치고자 한 것이다. 이처럼 조상의 숨결이 서려있는 민족문화를 계승하여 아쉬웠던 한해를 팥죽으로 마무리 짓고 밝은 새해를 새롭게 열어가는 날로 동지를 다시 인식하여야 겠다. |
▲ 다음글 보기 ▼ 이전글 보기 목록보기 |
순번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조회수 |
---|---|---|---|---|
12 | 수안큰스님 선서화전을 마치고..... 09-02-18 (수) 조회 : 2,318 | 09-02-18 13:59 | 2,318 | |
11 | 강릉 문화예술회관에서 선서화전 (수안스님) 열림 09-02-18 (수) 조회 : 2,460 | 09-02-18 13:58 | 2,460 | |
10 | 현덕사에 청소년 수련원 건립에 다 함께 동참합시다. 09-02-18 (수) 조회 : 2,408 | 09-02-18 13:58 | 2,408 | |
9 | 통도사 수안 큰스님 선서화전 09-02-18 (수) 조회 : 2,513 | 09-02-18 13:57 | 2,513 | |
8 | 금강경 독경 1000일기도 동참자모집 09-02-18 (수) 조회 : 2,549 | 09-02-18 13:56 | 2,549 | |
7 | 현덕사 길 1차 포장 완성 09-02-18 (수) 조회 : 2,281 | 09-02-18 13:55 | 2,281 | |
6 | 주지 스님 잘 다녀오세요, 09-02-18 (수) 조회 : 2,380 | 09-02-18 13:55 | 2,380 | |
5 | 천안성불사 정진바라밀회다녀감. 09-02-18 (수) 조회 : 2,362 | 09-02-18 13:54 | 2,362 | |
4 | 군부대 위문법회 잘다녀왔습니다. 09-02-18 (수) 조회 : 2,362 | 09-02-18 13:51 | 2,362 | |
3 | [RE] 군부대 위문법회 사진은 사람과 인연에.... 09-02-18 (수) 조회 : 1,120 | 09-02-18 13:53 | 1,120 | |
2 | 제 4회 현덕사 어린이 여름 불교 학교 09-02-18 (수) 조회 : 2,246 | 09-02-18 13:50 | 2,246 | |
1 | 현덕사의 홈페이지 대문을 활짝 열었습니다. 09-02-18 (수) 조회 : 2,158 | 09-02-18 13:50 | 2,15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