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월산 이야기

게시물열람
제목

찰나 생 찰나 사

작성자들꽃향기
등록일2012년 07월 12일 (08:43)조회수조회수 : 3,698
첨부파일
  • %EC%82%B0%EC%82%AC1.jpg (0)
찰나 生 찰나 死


길어야 백년,
숨 한번 몰아쉬면 홀연히 지고 마는 우리네 인생이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죽음의 통로를 잘 지나는 것이다.

옛날 큰 스님들은 생사(生死)가 둘이 아니라고 말씀하셨다.
생과 사가 다른데 어찌 둘이 아니라는 걸까.
이 말을 제대로 이해할 수 없었다.
그러나 호스피스 일을 할 수록
정말 생사가 둘이 아님을 절감한다.
생이 바로 서야 죽음이 바로 서고 생이 청정해야
죽음이 청정하다는 연기론적 법칙에서 보면
정말로 생사는 둘이 아니다.
육체 라는 한낱 현상이 일어났다 사라질 뿐
우리의 본성에 어떻게 생사가 있겠는가.
영적 차원에선 죽고 살 일이 없다.

그저 하나의 현상이 태어나서 머물다 소멸할 뿐
그 어디에다 생(生)이라 이름 붙이며
사(死)라고 이름 붙일 것인가.
그러니 늘 깨어 있어야 한다.
그래야 육체가 사(死)로 옮겨간 후에도
자신의 본성을 지킬 수 있다.
죽어가는 사람을 보면 오직 지금 이 순간이
존재할 뿐 과거도 없고 미래도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만약 너무도 소중한 사람이
임종 직전에 나와 대화를 나누고 눈을 맞추며 마음을
주고 받으며 마지막 온기를 나눴다고 생각해보라.
바로 그 순간 오직 그 찰나에만 존재하는 삶이 아니겠는가.

그 순간이 모여 십 년이 되고
오십 년이 되고 팔십 년이 된다.
한순간의 찰나 그것밖에 없다.
찰나 생이고 찰나 멸(滅)이다.
순간순간 죽음 속에 삶이 존재하고,
삶 속에 죽음이 담겨 있다.
철로의 양쪽 레일을 달리는 기차처럼
삶과 죽음은 그렇게 매 순간 함께 달려간다.

매 순간 죽고 태어나는데 어떻게 함부로 살 수 있겠는가.
찰나 멸, 찰나 생 사이에서 너와 내가 만났으니 이 얼마나 고귀한 인연인가.
그러니 우리가 할 일은 순간이 천년인양 살면서 가슴 벅차게 사랑하는 것밖에 없다.

그 순간의 한 점이 모여 수십 점, 수백 점에 이르고,
우리 인생이 그려지는 것이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우리는 대체로 과거에 얽매이고,
미래에 살 일을 걱정하며 산다. 공허함을 알면서도 그렇게 살아간다.

지금 당신은 어디에 머물고 있는가? 째깍째깍 흘러가는 죽음의 소리,
생에서 멸로 향하는 그 소리에 귀를 열고 있는가?
듣지 않는다고 해서 죽음이 찾아오지 않는 건 아니다.
쉼 없이 돌아가는 시계 초침을 타고
쉼 없이 죽음을 향해 달려 가고 있다.
당신과 내가…….

오는 자가 가는 자요, 가는 자가 오는 자라.
생은 사의 근본이요, 사는 생의 근본이라.
생사는 본래 하나인 것을......

인생은 교육의 장이다.
수시로 대면하는 시행착오 속에서
나는 보다 나은 인생을 배운다
코멘트현황
코멘트작성
※ 삭제나 수정시에 사용할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게시물처리 버튼
새글 작성하기 ▲ 다음글 보기 ▼ 이전글 보기 목록보기
게시판검색
자유게시판
순번제목작성자작성일조회수
824 정초 성지순례 잘 다녀왔습니다.
현종 / 10-02-24 (수) / 조회 : 4,555
현종10-02-24 11:264,555
823 눈 물 떨어지는 소리를 들으며...[1]
현종 / 10-02-21 (일) / 조회 : 4,674
1
현종10-02-21 13:144,674
822 현덕사에 많은 눈이 내렸습니다.
/ 10-02-13 (토) / 조회 : 4,563
10-02-13 16:574,563
821 소훈어린이집 템플스테이
/ 10-02-11 (목) / 조회 : 4,466
10-02-11 14:194,466
820 불교신문 기획연재 "나의 삶 나의 불교 ( 박용자 보살님 )"
/ 10-02-09 (화) / 조회 : 4,411
10-02-09 16:184,411
819 현덕사 주지스님 불교신문 수미산정에서 ...
/ 10-02-06 (토) / 조회 : 4,224
10-02-06 06:174,224
818 2010년 정초신중기도 안내
/ 10-01-31 (일) / 조회 : 4,327
10-01-31 09:504,327
817 2010한국불교박람회에 많은 관심과 참가를 바랍니다.
2010한국불교박람회 / 10-01-29 (금) / 조회 : 4,216
2010한국불교박람회10-01-29 15:504,216
816 아름다운 우리말
들꽃향기 / 10-01-27 (수) / 조회 : 4,524
들꽃향기10-01-27 16:044,524
815 백두대간과 새산맥지도
대한인 / 10-01-26 (화) / 조회 : 4,631
대한인10-01-26 21:274,631
814 이른 아침 현덕사의 설경[2]
/ 10-01-21 (목) / 조회 : 4,522
2
10-01-21 09:504,522
813 [RE] 이른 아침 현덕사의 설경
들꽃향기 / 10-01-21 (목) / 조회 : 1,349
들꽃향기10-01-21 19:281,349
812 대웅전 내부의 단청사진입니다.[1]
/ 10-01-17 (일) / 조회 : 4,844
1
10-01-17 19:214,844
811 자비명상
고민 / 10-01-17 (일) / 조회 : 4,779
고민10-01-17 16:054,779
810 관세음보살님
진영희 / 10-01-12 (화) / 조회 : 4,428
진영희10-01-12 20:104,428
809 조용한 물이 깊은것 처럼[1]
들꽃향기 / 10-01-06 (수) / 조회 : 4,213
1
들꽃향기10-01-06 22:384,213
808 엄마의 계산법
/ 10-01-05 (화) / 조회 : 4,190
10-01-05 16:514,190
807 근 하 신 년
임성빈 / 10-01-03 (일) / 조회 : 4,274
임성빈10-01-03 10:374,274
806 현덕사 설경2
/ 10-01-02 (토) / 조회 : 4,051
10-01-02 12:524,051
805 [RE] 현덕사 설경2
들꽃향기 / 10-01-02 (토) / 조회 : 1,400
들꽃향기10-01-02 16:481,400
게시판 페이지 리스트
새글 작성하기
계좌안내 : [농협] 333027-51-050151 (예금주 : 현덕사)
주소 : (25400) 강원도 강릉시 연곡면 싸리골길 170 (삼산리, 현덕사) / 전화 : 033-661-5878 / 팩스 : 033-662-1080
Copyright ©Hyundeoksa. All Rights Reserved. Powerd By Denobiz Cor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