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월산 이야기

게시물열람
제목

'깨달음으로 가는 위빠사나명상'을 소개합니다.

작성자
등록일2012년 05월 29일 (13:46)조회수조회수 : 3,737
첨부파일
  • (1)
  • ?쇱튇梨 (1)

 

 

 

‘부처님 오신 날’로 시작된 5월의 마지막 주에 부처님을 깨달음으로 안내해 준 ‘위빠사나 명상’에 대한 책 한권으로 분주했던 5월을 마무리 하는 것도 의미 있지 않을까 하여 소개 글을 올려 본다.

 

제목은 ‘깨달음으로 가는 위빠사나 명상’, 지은이 해공, 펴낸 곳 근원이다.

이 책은 해공 선생이 12년 동안 강의하신 내용을 발췌해서 정리한 글로서 위빠사나를 할 때에 가장 중요한 관점인 즉 ‘어떻게 볼 것인가’에 대한 가르침이 서술되어 있다. 또한 명상의 기본적인 내용부터 완전한 깨달음의 말씀에 이르기까지가 일목요연하게 이어지며 구도자가 가야할 길을 자세하게 안내하고 있다.

 

그러면 이 책의 차례를 따라가 보면서 각 장의 내용을 살짝만 맛보기로 살펴보자.

1장 ‘명상이란 무엇인가’와 2장 ‘위빠사나는 무엇인가’는 명상에 대한 바른 정의와 위빠사나의 참뜻과 위빠사나 명상의 목적, 방향성에 대해 말하고 있다. 본문의 내용을 짧게나마 만나보자.

 

“위빠사나는 안팎에서 일어나는 그 모든 것을 내가 했다, 네가 했다는 착각 없이 그냥 보는 것이고, 그것이 있는 그대로 보는 것입니다. 그것이 바로 전체적인 관점, 근원에서 보는 관점입니다. 이 관점이 가장 중요합니다. 그 관점을 갖는 것이 바로 위빠사나 명상을 하는 단 하나의 목적입니다. 깨달음은 모든 것을 내가 했다, 네가 했다 착각 없이 있는 그대로 볼 때에만 가능한 것입니다.”

 

“지혜로운 명상이란 의식을 항상 근원에 두고 ‘나라는 것은 본래 없다. 나는 본래 절대다.’라는 근원적 진리를 항상 가슴에 품고 이것을 한 순간도 놓치지 않고 모든 것을 알아차리는 것을 말합니다.”

 

특히 4장에서는 해공선생이 늘 힘주어 가르치는 ‘생활선’에 대한 자세한 가르침이 나와 있다.

“깨달음이라고 하는 것, 진리라고 하는 것이 이 세상과 동떨어져서 있는 게 아닙니다. 명상의 최고단계는 생활선입니다.”

 

누구나 피해갈 수 없는 세상살이의 사건과 인간관계에 대한 부딪힘, 해공 선생의 가르침은 무엇일까?

“ ‘이것이 누구에게서 일어났는가?’의 결론은 ‘내가 했다 네가 했다 착각 없이 있는 그대로 보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이 세상의 모든 존재, 모든 사건, 모든 현상은 쌍방 간의 연기 작용으로 저절로 펼쳐지는 현상이기 때문입니다. 이것이 바로 생활선의 백미입니다.”

‘착각 없이 있는 그대로’ 사건을 보기 위해서는 먼저 그 사건에 대해 내가 내리는 판단이 나의 관점일 뿐이며 착각이라는 것을 인정하는 것이 먼저임은 두말하면 잔소리라 하겠다.

 

5장 ‘근원에서 보는 위빠사나’에서는 위빠사나의 정신에 대해서 자세한 가르침이 들어 있다. 어떤 관점에서 위빠사나 명상을 할 것인가를 제시하고 있고, 6장 ‘진리정립과 위빠사나를 함께 해야 하는 이유’에서는 올바른 진리정립의 중요성을 인식시키며, 그것을 위빠사나 명상으로 자기 스스로 내면에서 체득하는 것만이 깨달음이라는 것을 설명한다.

 

 

7장에서는 ‘의식의 변화과정’으로 위빠사나 명상을 하면서 체험되는 의식을 단계별로 자세히 설명하고 있어서 명상 과정에서 오는 체험으로 인해 빠질 수 있는 함정을 바로 보고 알 수 있게 한다. 이 장을 통해서 지금 자신의 의식의 상태, 공부됨의 정도를 가늠해 볼 수 있으며, 앞으로의 공부 방향도 볼 수 있게 될 것이다.

 

8장 ‘위빠사나를 통해 드러나는 깨달음’은 진리에 대한 바른 정립과 함께 바른 관점의 위빠사나를 통해 드러나는 깨달음인 무아연기에 대한 가르침을 서술하고 있고, 9장 ‘본래무아, 본래절대’는 ‘개체적인 나는 본래 없고, 참나는 본래절대’라는 ‘본래무아, 본래절대’의 대명제를 이해하기 쉽게 풀어내면서도 네가 곧 절대라는 깨달음의 말씀을 바로 던져주고 있다.

 

각 장의 끝에 나와 있는 도반들의 ‘명상체험기’와 맺음말에 있는 ‘만트라 21’, 부록인 해공선생의 깨달음의 순간을 기록했던 ‘명상일지’까지 진리를 향해가는 구도자들을 위해 모든 것을 열어 보여주는 해공 선생의 12년 가르침의 결정판이라 하겠다.

 

석가모니 설법의 핵심인 ‘무아연기’.

이 책 ‘깨달음으로 가는 위빠사나 명상’을 통해 ‘이 몸과 마음은 내가 아니고, 나는 본래 절대다.’라는 대명제 ‘본래무아, 본래절대’를 깨달아 ‘나는 생과 사를 해탈했다’고 하신 부처님 말씀의 참뜻을 우리도 따라가 보자.

 

코멘트현황
코멘트작성
※ 삭제나 수정시에 사용할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게시물처리 버튼
새글 작성하기 ▲ 다음글 보기 ▼ 이전글 보기 목록보기
게시판검색
자유게시판
순번제목작성자작성일조회수
1023 아이들 2박3일 템플스테이[1]
조혜정 / 11-07-01 (금) / 조회 : 3,947
1
조혜정11-07-01 19:453,947
1022 칠월백중맞이 49재 영가천도재 입재
현덕사 / 11-06-27 (월) / 조회 : 3,749
현덕사11-06-27 08:223,749
1021 선방 대중공양갑니다.
현덕사 / 11-06-24 (금) / 조회 : 3,793
현덕사11-06-24 21:483,793
1020 수고하셨습니다[1]
/ 11-06-22 (수) / 조회 : 3,897
1
11-06-22 09:293,897
1019 ◆ 성일이의 뒤늦은 걸음마!
승가원 / 11-06-21 (화) / 조회 : 3,781
승가원11-06-21 11:473,781
1018 현덕사"전두부"판매합니다
원만심 / 11-06-19 (일) / 조회 : 4,056
원만심11-06-19 17:164,056
1017 이소플라본 이란?[1]
현덕사 / 11-06-18 (토) / 조회 : 5,529
1
현덕사11-06-18 08:285,529
1016 나누고싶은글
원만심 / 11-06-17 (금) / 조회 : 3,770
원만심11-06-17 13:063,770
1015 “천년고찰 계곡물에 번뇌 내려놓고 마음을 씻다”
현덕사 / 11-06-17 (금) / 조회 : 3,872
현덕사11-06-17 09:003,872
1014 현덕사, 어르신 대상 크루즈 관광
현덕사 / 11-06-17 (금) / 조회 : 3,930
현덕사11-06-17 08:583,930
1013 환경보호도량 현덕사 극락전 상량
현덕사 / 11-06-13 (월) / 조회 : 3,893
현덕사11-06-13 22:133,893
1012 강릉 현덕사 어르신 초청 선상 경로잔치
현덕사 / 11-06-13 (월) / 조회 : 4,002
현덕사11-06-13 21:574,002
1011 현덕사 어른신들의 선상법회
현덕사 / 11-06-10 (금) / 조회 : 3,874
현덕사11-06-10 08:233,874
1010 불교를 만나는 새로운 문 - 야단법석
야단법석 / 11-06-08 (수) / 조회 : 3,839
야단법석11-06-08 15:353,839
1009 현덕사를 다녀와서[1]
이슬 / 11-06-08 (수) / 조회 : 3,986
1
이슬11-06-08 00:023,986
1008 “청년 불자여! 푸른 파도처럼 일어나라.”
대한불교청년회 / 11-06-07 (화) / 조회 : 3,692
대한불교청년회11-06-07 10:013,692
1007 깊은마음내시어 한번다녀가세요
원만심 / 11-06-05 (일) / 조회 : 3,698
원만심11-06-05 14:203,698
1006 극락전 상량식을 합니다.
/ 11-05-31 (화) / 조회 : 3,946
11-05-31 21:313,946
1005 벌과 나비를 위하여
현덕사 / 11-05-30 (월) / 조회 : 3,864
현덕사11-05-30 07:353,864
1004 사람이 사람을 만난다는 것
물안개 / 11-05-26 (목) / 조회 : 3,623
물안개11-05-26 02:083,623
게시판 페이지 리스트
새글 작성하기
계좌안내 : [농협] 333027-51-050151 (예금주 : 현덕사)
주소 : (25400) 강원도 강릉시 연곡면 싸리골길 170 (삼산리, 현덕사) / 전화 : 033-661-5878 / 팩스 : 033-662-1080
Copyright ©Hyundeoksa. All Rights Reserved. Powerd By Denobiz Corp.